Today : 2025년 01월 07일 (화요일) 로그인      회원가입
     행복한 가정의 답은 '성경'이다               하나님 은혜로 공장공원에서 사법시험 합격한 김미애씨 인생               아이들에게 어린이용 성경을 읽히자               성유리, 종교문제로 갈등 스크린 데뷔 부친이 사양               3일간 매일 전도해 1500명 어린이전도               "지하철서 젖 먹이면 왜 안되나요?"               아나운서 최윤영 “은혜스럽다”말했다가 곤욕               감사의 뜻담은 '팁주기' 캠페인               몽골서 꽃피우는 탁구선수의 ‘변신’ 양영자 선교사               상록수 최용신을 흠모하며              

  홈     교회안내     예배안내     담임목사소개     부부문제내적치유     부부행복학교     결혼상담소     아버지대학     어머니대학     셀목장     설교말씀     주일학교     아르바이트     찬양부대     선교부     새가족     교육부     홈 관리     청소년부     봉사부     자료실     예배자료     신앙자료     교역자소개     교인연락망     남선교회소식     생활정보     시,수필,컬럼     기도실     목사님가정  

  교회소식
  교우동정
  묵상,QT
  기관소식
  성경공부
  교계소식
  시사뉴스
  성도 사업체
  은혜의 간증
  유머
  신앙자료
  전도이야기
  선교이야기
  좋은글 모음
  새신자소식
  교회 약도
  교우 웹사이트
  교회 도서자료
  온라인 헌금



약도

추천도서

"생활전도"
이왕복목사
예영.400쪽

"地圖전도"

 


홈페이지 이용안내

- 홈페이지 이용안내
- 동영상 인코딩 안내
- 프로그램 다운로드
- 홈페이지 교육장 약도


생활정보

성경공부

성경연구


상록수 최용신을 흠모하며
2003-10-28 10:12:59   read : 61022






▲최용신 선생의 학창시절 모습.


이 민족의 심훈 '상록수'의 실제 주인공...농촌계몽 운동의 선구자

감리교의 상록수 최용신의 생애

한 인간의 삶의 기저(基底)를 천착하여 거기에서 당시의 시대적, 정신적 유산을 찾아낸다는 일이 결코 간단치 만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리교가 낳은 심훈의 '상록수'의 주인공으로 등장하여 수많은 이들의 심금을 울렸던 작중 인물 '채영신'이 바로 농촌계몽운동의 선구자 최용신(崔容信)이었다는 사실을 아는 이들은 그리 많지 않다.

1930년대 초, 일제의 잔혹한 탄압과 문화말살정책에 자신의 온 몸을 불태워 이 민족의 정기와' 배워야 산다'의 자력갱생(自力更生)의 거룩한 심지가 되었던 최용신 선생의 삶의 흔적을 반추하며, 그의 정신을 보존 계승하는 작업은 대단히 소중한 일이리라.

상록수의 시대정신은 한국 감리교회의 신앙전통과 결코 유리될 수 없는 소중한 버팀목이다. 거의 그의 삶의 흔적이 사라질 듯한 분위기 속에서 우리는 한 인간의 주체적인 삶의 진실과 민족애의 뜨거운 열정 앞에, 진정 그리스도교 신앙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묻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동시에 오늘의 한국 감리교의 신앙유산과 정신적 기초가 무엇인지를 물어야 할 것이다.

필자는 이러한 물음을 전제로 하고 그의 삶의 단편(斷片)을 조심스럽게 이어보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최용신은 1909년 8월 함경남도 현면 두남리에서 최창회(崔昌熙)씨의 5남매중 둘째 딸로 태어났다.

그의 가정은 뼈대있는 경주 최씨 문중으로써 선조 때부터 대대로 경주에 살다가 12조 때 정치적 격변의 와중에서 원산 섭섬으로 귀양을 와서 그 곳에 정착하게 되었다. 최용신의 조부는 이 지방의 덕망 있는 인물로 사재를 털어 덕원에 학교를 세우는 등 나라의 기운을 회복하기 위해 교육을 통해 앞장서기도 했다. 그러나 최용신의 집안은 빈한한 살림살이였다.

다행히 일찍 기독교가 뿌리를 내린 곳이어서 자연스럽게 기독교적인 분위기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당시의 가난한 생활체험을 통해 '겨레의 살 길은 농촌계몽에 있다'는 신념을 가지게 되었다.


그는 어려서부터 집안의 영향을 받아 독립사상과 애국애족의 마음을 갖게 되었다. 그런 진보적인 집안 분위기에 고무되어 선교사가 운영하던 루(樓)씨 여학교를 1928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였다. 여학교를 졸업하기까지 자신이 학비를 조달했으며. 빈곤한 생활 중에서도 궁기(窮氣)를 내비치지 않고 성서묵상과 강인한 의지력을 키워나갔다.

루씨 여학교 재학시절에 남긴 글들을 잠간 들여다보자.

"… 문화의 눈이 구 여성만 모인 농촌으로 하여금 어둠 속에서 걸어 나오게 못한다면 이 사회는 어느 때까지든지 완전한 발전을 이루지 못할 것이다. 농촌 여성의 향상은 우리들의 책임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중등교육을 받은 우리가 도시생활만 동경하고 안일한 생활만 꿈꾸어야 옳은 것인가. 농촌으로 돌아가 문맹퇴치에 노력해야 옳을 것인가? 거듭 말하노니 우리는 서로 손을 잡고 농촌으로 달려가자."

어느 날 담임선생과의 졸업면담에서 "저는 농촌에 들어가 농촌계몽운동에 일생을 바치겠습니다." 고 대답한 것을 보아 그때 이미 앞으로의 삶이 내정되어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 후 1928년 봄, 남녀공학인 협성신학교 본과에 입학한 최용신은 황에스더(1892∼1971)선생을 만났으며, 그의 가르침에 큰 감명을 받아 이로 인해 농촌계몽운동에 대한 그의 염원은 더욱 뜨거워 졌다.

황에스더 선생이야 말로 최용신의 생애에 있어서 중요한 단서(端緖)를 제공해 주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최용신으로 하여금 기독교 정신에 입각하여 빛나는 삶, 민족의 밑거름이 되어 살아가도록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장본인이 바로 황에스더 선생이다.

최용신은 협성신학교를 다니면서 첫해에는 황해도 수안 용현리로 실습차 농촌계몽을 나갔지만, 주민들의 몰이해로 별 성과 없이 돌아오고 말았다. 학교로 돌아온 그는 기숙사에서 자신의 실패에 대해 혹독한 반성과 성찰의 기회를 가졌다고 한다.

그 이듬해 포항 옥마동으로 농촌 계몽을 나가서 그는 거기서 자신의 전 생애를 필사(必死)의 각오로 농촌운동에 헌신할 것을 다짐하였다.

신학교 졸업을 일년 앞두고 당시 수원지방 여전도사업을 위해 일했던 밀러 여선교사의 요청과 YMCA의 지원으로 파송 받아간 곳이 경기도 반월군 천곡(샘골)이었다.

그 때 천곡에는 장명덕(張明德)전도사에 의해 일년 전부터 학원이 세워져 있었다. 최용신이 천곡에 도착한 때가 1931년 10월이었고, 그로부터 그는 만 2년 4개월 동안 혼신의 힘을 다해 일하였다.

당시 샘골에는 서울에서 군포까지 기차로 와서 서쪽으로 20여리 길을 걸어서 갔으며. 동리에는 40호 가량의 농가가 옹기종기 모여 촌락을 이루고 있었다.

우선 최용신은 여러 마을을 순회하며 농민들의 생활 상태와 교육에 대한 열의 등을 타진해 보았으며, 주민들과 유지들을 찾아다니며 자기의 계획하는 일에 후원해 주기를 청하였다.

그는 마을을 다니며 신입생을 모집했으나 생각대로 되지 않았다. 부모를 만나 "자녀를 가르치십시오. 가르쳐야 합니다"고 권면하면 "돈이 있어야지요. 월사금 낼 돈이 어디 있습니까" 하는 식이었다. 아이들을 만나도 마찬 가지었다 "돈이 있어야지요. 나무는 누가 하고요."라는 대답이었다.

"너의 집은 농사를 짓지 않니?"하고 물으면 "농사는 지어서 무얼 해요. 가을에 타작을 하면 장리쌀로 나가고 밭도지와 텃도지를 갚고 나면 빗자루만 가지고 들어오시는 걸요."라고 대답할 정도로 비참한 생활을 했다.

그런 상황에서 공부를 한다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결단이었으리라. 최용신은 실망치 않고 "이제라도 공부를 열심히 해서 나라를 찾고, 또 잘사는 나라로 만들어 우리 모두가 배불리 먹고 잘 살아 보자."라는 애원을 하며 부모들의 승낙을 받아냈다.

이렇게 하여 모집한 학생이 40여명으로 이들에게 한글, 산수, 재봉, 수예, 가사, 음악, 성서 등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낮이면 씨름하듯 수업을 하고 저녁이 되면 쉴 짬도 없이 부녀자들을 모아놓고 한글을 가르쳤다.

너무나 회생적인 그의 열심에 감동하여 처음에는 낯설게 대하고 냉소적이었던 동리 사람들이 차츰 호감을 갖고 존경하기 시작했다.

이렇게 3개월이 지나자 학생수가 불어 6칸 초가 예배당이 좁아 학생을 다 수용하기가 어렵게 되었다. 그래서 새로운 방도를 궁리한 끝에 학원인가와 강습소 개축을 계획하게 되었다. 당시 일본이 전시체제로 몰입하던 단계에서 하나하나 죄어가는 때라 학원인가는 쉽지 않았다.

더구나 요시찰 대상인 황에스더의 지휘아래 있는 최용신이었으므로 그것은 더욱 어려웠고, 또 당시 동아일보에서 주축이 되어 벌이고 있던 귀농운동(歸農運動)-소위 브나로드 운동을 저지하기 위해 온갖 탄압을 일삼을 때라 어려웠다.

그러나 여러 인사들의 도움으로 1932년 5월 어렵게 인가를 얻어냈다. 그는 매일 바쁜 일과 중에서도 강습소 건축을 위해 동분서주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교인 몇 사람과 지역의 유지들을 찾아다니며 협조를 요청했지만 쉽지 않았다. 낙심치 않고 끈질기게 쫓아다닌 결과, 염석주(廉錫柱)씨를 만나게 되었다.

이 분은 정미업과 목축업을 하고 있었는데 최용신의 뜻을 이해하고 많은 돈을 회사했으며 강습소 건립 후에는 그 학원의 이사장이 되어 최용신의 활동을 적극 후원하였다. 또한 지성이면 감천(感天)이라고 반월면 일대의 갑부요, 둔대교회 설립자인 박용덕씨가 흔쾌히 1,052평의 땅을 학원부지로 기증하였다.

최용신은 동네 구우계(求牛契)에도 관여하여. 최용신의 열정에 고무된 부녀계원들이 모아들 돈 전액 300원을 내놓았다. 이렇게 해서 건축을 시작하게 되었다.

1932년 10월 27일 건축 발기위원회를 조직하여 그 이듬해 1933년 1월 15일 50평의 강습소 건축을 완성하여 자축의뜻으로 낙성식을 가졌다. 예배당이 비좁아서 고생하던 끝에, 넓은 교실에서 수업을 받게 된 학생들은 기쁜 마음으로 감사의 예배를 드렸다.

최용신의 수업은 철저한 기독교 정신으로 일관하였다. 애국 애족하는 사상과 하나님 사랑과 부모사랑, 이웃사랑, 그리고 나라와 흙을 사랑하는 농민이 되어야 한다고 가르쳤다. 그해 봄이 되어 학생을 모집하니 110여명이나 되었다. 최용신은 한 사람이라도 더 가르쳐서 깨우쳐야 한다는 사명감에 불타고 있었다.

그러나 일제는 학원의 시설미비를 이유로 60명 이상은 수용할 수 없다고 통고하였고 온갖 회유와 탄압을 서슴치 않았다. 이사회를 열고 수차례 당국과 교섭을 했으나 막무가내였다.

결국 학원의 문을 닫거나 그들의 말을 따를 수밖에 없었다. 최용신과 어린 학생들이 차마 떨어지지 못하고 통곡하는 모습은 눈을 뜨고 볼 수 없는 광경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일제는 그것에서 그치지 않고 면소재지의 학교가 천곡학원의 학생모집으로 학생수가 미달된다는 이유로 보통학교를 다닐 만큼 여유 있는 집안의 아이들은 갖은 압력을 넣어 강제로 빼앗아 갔다.

소설 '상록수'에 실린 작중 인물 채영신의 기도문 가운데 한 토막을 소개하여 당시 최용신의 심기가 어떠했는가를 가늠해 보기로 하자.

"… 주여 당신의 뜻으로 이곳에 모여든 귀엽고 사랑스런 어린 양들이 오늘 그 삼분의 일이나 목자를 잃게 되었습니다. 주여! 그 가엾은 무리가 낙심하지 말게 하여주시고 하나도 버리지 마시고 다시금 새로운 광명을 받을 기회를 내려주시옵소서…."


반월과 수원경찰서에서 뻔질나게 최용신을 호출하여 갖은 말로 회유도 하고 핍박을 하였다. 때가 왜정 치하여서 학교에서는 우리나라 역사와 한글을 쓰지 못하도록 했다. 그러나 최용신은 한글과 국사를 가르쳤다.

당국에서 알면 무서운 체형을 받게 된다는 사실도 개의치 않았다. 그는 심문을 받고 나오면서도 자신의 불편한 심기를 전혀 내색하지 않았다. 그는 그러한 탄압에도 굴하지 않고 비분강개한 마음을 스스로 달래며 초연하게 자신의 일을 중단하지 않았다.

당시 일본은 대륙침공을 위한 병참기지를 삼으려는 의도를 가지고 우리 민족의 고혈을 짜내는 시기였다. 최용신에게 사사건건 시비하는 이유가 그가 기독교도라는 점, 신학교를 다녔다는 점, 한국 역사와 성서를 가르친다는 점 때문이었다. 당시 구약성서의 출애굽사건의 이야기는 왜경의 이러한 탄압구실을 만들어주는 계기가 되었다.

하루에 세 반. 네 반으로 학생을 한 장소에 앉히고 가르친다는 것도 무리였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숨 돌릴 틈도 없이 가르치고 동리 부녀자들을 모아 한글을 가르쳤다. 무지한 부녀자들에게 "아는 것이 힘이다. 배워야 산다"고 수 없이 강조했다.

그야말로 초인적인 힘을 발휘하여 가르치는 일에 전념하였다. 방학 때가되면 샘골을 중심으로 야목리, 둔대리, 게모게, 안산 삼거리 등 여러 곳에 흩어진 교회를 도보로 순회하면서 한 주간씩 단기교육을 시켰다.

연중무휴로 하루도 짬이 없이 열과 성의를 다했다. 큰 문제들을 대충 해결하고 열심히 일하다가 아무래도 자신의 지식의 부족함을 느껴 유학을 결심하고, 1934년 3월 일본 고베 여자신학교 사회사업학과에 입학하여 공부하다 3개월도 안되어 그만 각기병에 걸려 눈물을 머금고 귀국하고 말았다.

그러나 이 소식을 들은 샘골 사람들이 "아파서 누워 있어도 좋으니 샘골로 돌아오라."고 한사코 권면하자, "죽어도 샘골에 가서 죽자."는 마음으로 본래 자신의 삶의 터전으로 복귀하였다.

마을 사람들은 날마다 최용신의 병 낫기를 기도하고 몸에 좋다는 약을 구해 왔으며 알뜰히 보살펴 주었다. 다행히 심신을 회복하여 전보다 더욱 열심히 일하기 시작했다.


▲샘골부인 회원들과 함께.

그러나 안정도 잠시뿐 또 다시 시련이 닥쳐왔다. 일년 전부터 반으로 줄었던 보조가 1934년 10월부터 완전히 중단되고 말았던 것이다. 이것은 최용신에게 치명적인 타격이었다.

우선 학원관계자들과 상의하고 천곡교회 목사와 중직들을 찾아 의논했지만 별다른 대책이 없었다. 당시 최용신이 <여론>이라는 잡지에 기고했던 호소문 중 일부를 들어보자.

"사업가의 열성도 강제도 제한이 있어 이제부터는 후원을 끊는다는 소식이 들림에 우리는 낙망의 눈물, 비통한 눈물이 나오는 것입니다. 가르칠 줄도 알고 배울 줄도 알건마는 우리에게는 여유가 없습니다.

배움에 굶주린 우리 농촌 어린이들은 장차 어디로 가야 합니까? 조선의 부흥은 농촌에 있고 민족의 발전은 농민에 있다 하거늘 배우지 못하고 가르치지 못한 우리에게 무슨 발전이 있겠습니까?

오호, 우리 농민의 하소를 어찌 다 기필 하오리까? 이 앞으로 긴긴 밤에 잠 못 이루고 나오는 한숨과 흐르는 눈물에 땅이 꺼지지 마사이다. 여러분이시여! 곡식을 심으로 곡식을 심으면 1년의 계(計)가 되고 사람을 기르면 백년의 계가 된다고 하였거든 이 강산을 개척하고 이 겨레를 발전시킬 농촌의 어린이를 길러 주소서. 뜻있는 이여! 우리 농촌의 아들과 딸의 눈물을 씻어 주소서."(1934.10.30)

이런 애절한 그의 호소도 아무런 도움을 얻지 못했다. 다만 수원농고에 재직하고 있던 그의 친구 류달영(柳達永)씨가 학생들에게 호소하여 얼마간 도와주게 되었다. 겨우 위기를 모면한 최용신의 건강이 다시 악화되기 시작했다. 차츰 식욕이 떨어지고 음식도 못 먹고 약을 먹어도 차도가 없었다. 그래도 아픈 몸을 이끌고 수업을 계속했다.

결국 1935년 정초에 병세가 심각할 정도로 악화되어 수원 도립병원에 입원을 시켰다. 병명은 장중첩중이었다. 진작 손을 썼어야했는데 너무 병이 깊어졌다는 의사의 진단이었다. 병원 의사들, 주민들, 제자들, 교우들의 간곡한 기도가 계속되었다.

추운 겨울에도 불구하고 교인들과 학부형들이 끊임없이 병문안을 왔다. 그러나 이러한 수고도 아랑곳하지 않고 병세는 악화되어 화농성 복막염이 되었다. 최용신은 자신의 죽음을 직감했는지 힘겹게 말문을 열었다.

"만일 내가 떠난 후라도 학원만은 살려서 여러분의 손으로 훌륭한 학원을 만들어 주세요…. 제가 약혼한 지 올해로 11년이어요. 올 4월부터 두 사람이 힘을 모아서 농촌을 위해 일하고자 굳게 약속했어요. 그런데 이대로 떠나니 그 사람에게 미안해요. 제가 늙으신 어머니보다 먼저 떠난다면야 그것도 죄송한 일이고 제가 죽은 후에는 학원이 잘 보이고 종소리가 잘 들리는 곳에 묻어주세요…." 등의 말을 남기고 눈을 감았다.

결국 1935년 1월 23일 0시 20분, 최용신 선생은 하나성의 부르심을 받고 정든 이 땅, 사랑하는 교우와 제자들을 남겨두고 떠났다. 25년 6개월이라는 짧은 생애였다.

최용신의 삶의 흔적은 오래된 사진첩의 빛바랜 사진처럼 희미한 등불이 되어 우리에게 남아있다. 그러나 그의 살신성인(殺身成人)의 삶은 너무나 분명하게 이 민족의 제단에 각인되어 있다.

그는 분명 이 민족의 거룩한 '상록수'였다. 우리는 더 이상 그의 숭고한 삶의 뒤안길을 배회만 하고 있을 것이 아니라, 그에 관한 방치된 기억들을 새롭게 발굴 보존하여 모든 그리스도인들의 시대정신으로 신앙전통으로 면면히 계승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최용신의 상록수에 새겨진 십자가의 상흔은 오늘 우리 모두의 삶의 푯대요, 아름다운 신앙의 유산이기 때문이다.




독자 한마디
Z3eDNZdeMwRE
Dahrann gqg1jf364zp@yahoo.com
WBGoZVGnkwGg
Open curator@stgertrudes.org
qSnzucLqfgbQHUxPX
Roxana ronthetowelguy@bellsouth.net
bGfqjoObtZF
Vyolet ninan1108@yahoo.com.cn
qfQypwecoMIy
Jonas barbiedeen@comcast.net

의견쓰기
이 름 E-mail
제 목



프린트하기 기사메일보내기 독자한마디


이전으로
기독교 자료
상록수 최용신을 흠모하며
 | Home | 사이트구조 | 내용검색 | 전체내용보기 | 내용올리기 | | 
경기남양주시진건읍용정리757-1전화031-527-1228 ,hp010-2041-2482   Contact Webmaster